TechTogetWorld

공방 구축하기/탈포기 에어도색기 제작 +2

 daviduino.co.kr

techtogetworld.com

 david201207.blog.me

cafe.naver.com/3dpservicedavid


탈포기/도색부스 Control pannel 회로설계


탈포기/도색부스제작후에  이를 컨트롤할 콘트롤 판넬을 설계했습니다.

본회로를 응용하면, 본 탈포기/도색부스 뿐만이 아니고, 

거의 모든 설비들을  5V로 컨트롤,즉  MCU(아두이노등)로 컴프레셔등(220 이상, 단상, 3상)을 콘트를 할수있을것으로 기대합니다.

본 사례에서는 탈포기용 컴프레셔 와  도색부스( 시로코 팬)의 제어로 한정을 지었습니다.


혹시 회로상의 문제되는점 이나, 더 나은 방법이 있으시면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요 특징은

1)컴푸레셔와 휀은 단상 220V로 작동시키고, 작동스위치(릴레이 및 온도콘트롤 장치 등)은  5V로 작동시킴

  향후 아두이노로 콘트롤 가능

2)에어컨 압력제어 시퀜스 회로를 탈포기에 적용하여, 컴프레셔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컴프세셔 작동이 멈추고 일정압력 이하가 되면 다시 작동케 함.

3)안전장치로 EOCR 적용

 - 기존에 많이 사용하는 열동형(과전류=>열발생=>센서부 변형=>전기차단)의 경우에는  컴프레셔의 기동전류에 의해 차단되는 현상이 빈번이 일어나므로,

    좀더 세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EOCR 적용

    EOCR은 기동전력이 지나가는 구간을 시간으로 제외시켜, 전기차단을 방지하는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한 전류차단 장치임.


글의 순서입니다.


1. 제어도면

  - 바람님의 동영상 강의 (ki cad)를 보고, 컴포넌트 하나씩 추가해 가면서 회로도를 작성했습니다.  

    바람님 목소리가 차분하고, 강의를 듣기에 아주 좋고, 편안한 목소리 이십니다. 부럽습니다. 꿀 성대  ^^

    https://www.youtube.com/watch?v=8lm3W-hfhWU&list=PLsS-TVNjbU7euyfwtTIgN5aHmOWaQRkv_&index=7&t=153s


  - 기존의 소리반응 진동기 때는 이글캐드를 사용했었는데, 서로간의 장단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이글캐드는 pcb 크기제한(무료버전)이 있으며, 직관적인 작업이 ki cad가 좀더 좋은 느낌입니다.

 

20170521.bak

20170521.kicad_pcb

20170521.pro

20170521.sch

20170521-cache.lib


2. 제어설명

3. 탈포기 및 도색부스(사진)




[제어도면]





[제어설명]


1. 전원은 220V 3단상입니다.

2. 과부하시 자동전류차단 장치로 EOCR 적용

    기존에 많이 사용하는 열동형(과전류=>열발생=>센서부 변형=>전기차단)의 경우에는  컴프레셔의 기동전류에 의해 차단되는 현상이 빈번이 일어나므로,

    좀더 세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EOCR 적용

    EOCR은 기동전력이 지나가는 구간을 시간으로 제외시켜, 전기차단을 방지하는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한 전류차단 장치임.

3. 주 부하배선(220V)는 마그네틱 컨트를 장치( 릴레이  MC1 , MC2)를 거쳐서  탈포기의 컴프레셔와,  후가공 부스의 팬(시로코펜)으로 연결함
   즉 MC1, MC2에 신호전압 (5V)가 인가되면, 작동을 하게됨.
4. 제어배선은 SMPS(전원아답타)로 연결함, INPUT 220V  OUTPUT 5V 3A정도
5. 제어배선에 전원이 인가되면 첫번째 LED가 점등됨
6. 푸쉬버튼 (PBa1: 탈포기 컴프레셔 ON 버튼)은 a 접점 스위치 입니다 ( 누를면 연결되고, 떼면 연결이 끊어지는 스위치) , 
   - PBa1을 누르게 되면 ==> 릴레이 RY에 전원이 인가가 되고, 전자기기가 형성되면  Ry1_a 이 마그네텍에 붙어서 연결이 되고, RY1_b ( B 접점 : 누르면 연결이 끊어짐)는 연결이 끊어집니다
   -  Ry1_a가 연결이 되면 세번째 LED가 점등이 되고 , 도면의 오른쪽 THR(온도 콘트롤장치)를 거쳐서 MC2(마그테틱 스위치: 릴레이) 를 작동시킴니다.
   - MC2에 전윈이 인가되면, 도면 좌측의 COMP LINE의 릴레이가 연결이 되고, COMP 에 220V의 전원이 인가되서, 컴프레셔가 작동을 하게됩니다.
   - 작동을 하다가, 컴프레셔의 출구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MC2에 전원이 끊어지고, 자성이 없어지며 COMP 라인이 끊어져서 멈추게 됩니다.
   -또한 PBb1 (off 스위치)을 누르게 되면 Ry1_a가 열리면서, 역시 컴프레셔가 멈추게 된다.
   - 즉 온도가 높아지거나, off 를 누르게 되면 comp는 멈추게 됩니다.
   - 물론 온도 대신 압력제어도 센서만 바꾸어 주면 가능합니다.
 7.PB b2버튼(도색부스FAN ON 버튼)을 누르면 MC1에 전원이 인가되고, 자성이 형성되고, RY2_a ( = MC1_a) 연결되어 좌측의 fan이 가동이 됩니다.
   - 물론 PBb2(off 스위치)를 누르면 자성이 없어지고, 끊어져 fan 작동이 멈춤니다.
 8. 주의 컴프레셔 주변에 접점지점을 만들어(도색을 벗겨냄) 접점을 많들어 연결해야 합니다( 감전방지)


[탈포기 및 후가공 부스(사진)]













 daviduino.co.kr

techtogetworld.com

 david201207.blog.me

cafe.naver.com/3dpservicedavid

탈포기 에어도색기 제작하기


1. 완성품
2. 조립하기

[완성품]

에어도색기      







   


[조립하기]

- 컴프레셔 : 1마력, 실외기용
- 에어탱크 : 소화기
- 에어레귤레이터
- 릴리프 밸브
- 체크밸브
- 탈포통 : 밥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