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TogetWorld

 daviduino.co.kr

techtogetworld.com

 david201207.blog.me

cafe.naver.com/3dpservicedavid

미세먼지 측정기 Hardware Case 제작


미세먼지 측정기 Hardware Case를 제작하였습니다.

미세먼지 센서는 여기까지 마무리 하고, 

이후 부터는 ART WALL (LED)를 진행예정입니다.


본글의 순서입니다.


1. 하드웨어 구성 모습

2. hareware case 제작과정

  1) 모델링

  2) 3d 프린팅

  3) 후가공

      - 퍼티/사포질 반복

  4) 채색


케이스는 캐릭터 형태로 제작을 했습니다. 미세먼지 센서박스위에 상반신 인물이 올라가 있는 형태로 해보려고 합니다.

누구나 갖고있는 장치가 아닌 ,  자기만의, 이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개인들이 좀더 애착을 갖을수 있을것 같아서, 개인별 인물을 캐릭터로 만들었습니다.



[하드웨어 구성 모습]


[ hareware case 제작과정 ]


1. 모델링=>3D 프린팅 => 퍼티=>샌

2. 서페이서 도포=> 무광택 코팅 =>살색 입히기=> 눈 그리기


3. 이목구비 머리 채색


4. 측정기 CASE BOX 제작 ==> 방법은 상기와 동일


5. 미세먼지 측정기 + 캐릭터 부착


6. 전체모습





 daviduino.co.kr

techtogetworld.com

 david201207.blog.me

cafe.naver.com/3dpservicedavid

Web Service 이전 ( 노트북 ==>라즈베리파이)


Web Service server를 라즈베리 파이로 이전했습니다.


본글의 순서입니다.


1. 하드웨어 구성 모습

2. webserver 코딩

=> 노트북 server (windows)와 코딩은 동일함 => 동일함으로 별도로 기재하지 않겠습니다.

=> 단) nodemcu firmware 코딩중 서버주소만 라즈베리 주소로 변경해줌

3. 라즈베리로 본 서버화면

     =>도메인 : http://techtogetworld.mooo.com/index.php

4. 다른 pc에서 라즈베리에 접속해서 본 화면

     => http://techtogetworld.mooo.com/index.php 에 접속

5. 아이폰으로 접속한 화면

6. Next Step

     => Hardware 케이싱 제작



[ 하드웨어 구성모습]


[라즈베리로 본 서버화면]




[다른 pc에서 라즈베리에 접속해서 본 화면 ]








[아이폰으로 접속한 화면]






 daviduino.co.kr

techtogetworld.com

 david201207.blog.me

cafe.naver.com/3dpservicedavid

미세먼지 측정장치 아세이 조립


그동안에 빵판에 있던 부품들을 조립(ON 기판)했습니다.


[ 전체 모습 ]

  - 먼지센서(pms7003)

  - NODEMCU ESP8266

  - 스위치 3개

    . 2개 : RX,TX  ==> 펌웨어 업로딩시 OFF를 해야  업로딩 가능함 ( 업로드시 RX,PX를 사용하므로)

    . 1개 : ON OFF S/W

  - POWER : 5V 2.5A  (7.5W)


[ Next step ]

  1. 코딩보완

      . 웹페이지와 조립한 먼지센서가 잘 연동이 되는지 확인/보완


  2. 케이스 제작

     . 케이스는 캐릭터 형태로 해보려고 합니다. 미세먼지 센서박스위에 상반신 인물이 올라가 있는 형태로 해보려고 합니다.

     . 누구나 갖고있는 장치가 아닌 ,  자기만의, 이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개인들이 좀더 애착을 갖을수 있을것 같아서, 개인별 인물을 캐릭터로 만들어 보는것을 생각해 봤습니다.


 3. 라즈베리파이 세트(모니터,라즈베리파이 본체,마우스,키보드,전원)구성

     . 현재는 단품들을 선으로 연결한 상태라서, 배선도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한 상태임


 4. 미세먼지 서버 이동 ( 노트북==> 라즈베리파이로 서버 이동)


[ 전체 모습 ]



NODEMCU는 직접 기판에 조립하지 않고, 연결소켓을 기판에 납땜하고, 그위에 NODEMCU를 끼우는 형식으로 했습니다. (장점 : 탈부착 용이함  단점 : 두꺼워짐)

기존의 센서케이블을 변형시키지 않고  원형그대로 사용하려고 하다보니,  깔끔하게 선 정리가 않되었습니다.향후엔 PCB로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MCU , PM7003을 COVER 하기위해 5V, 2.5 A 적용함..




 daviduino.co.kr

techtogetworld.com

 david201207.blog.me

cafe.naver.com/3dpservicedavid


미세먼지 측정결과 Web Service



기획실장님께서 미세먼지 측정결과를 서버에 저장하고, 저장된 data를 web에 보여주는것을 소개해 주셨습니다.


본글은 미세먼지 측정결과를 web에 보여주는, 즉 Web Service 하는 또다른 사례에 대한 소개 입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를 소개토록 하겠습니다.

1. Web Service 시현

2. 구현방법

3. Next Step


[ Web Service 시현 ]


1. 도메인 : http://techtogetworld.mooo.com/index.php

  => 현재는 서버를 노트북에 구성을 했습니다. 노트북이 꺼진 동안에는 접근불가.

  => 추후 라즈베리파이로 서버를 옮길 예정임.




[ 구현방법 ]


1. 코딩화일 구성

  -. 저장위치 : Webserver root 디렉토리 ==> C:\Bitnami\wampstack-7.0.13-1

                   \apache2\htdocs

  -  화일구성

index.php

write.php

          => Web page 글쓰기 화면

process.php


          => 글쓰기 화면에 입력한 글을 서버에 저장

style (1).css

          => 페이지 스타일

dustdata.php


     => pms7001 먼지센서 측정결과를 mysql에 저장

showdata.php


     => mysql 서버에 저장된 측정결과 data를 웹페이지에 뿌려줌 (웹서비스 페이지 구성전 test용)

     => 웹 서비스 구성화일에는 필요치 않음, test를 하기 위한 용도임

loget.php


          => 아래 5개 화일 포함 6개화일 => 미세먼지 측정위치를 구글지도에 표현

logetincheon.php

logetoryu.php

logetqua.php

logetsindo.php

logetyoung.php




2. NODE_MCU Firmware

 PMS7003s.h

 sketch_oct30a_v03.ino

  -  세부코드와 코드설명은 유첨화일 클릭하면 볼수있습니다.


[ Next Step ]


1. 서버를 라즈베리파이로 이전

2. 먼지센서 케이싱 제작

  - 웨어러블 타입 , 고정식 타입 , 캐릭터 타입 , 기타  ....   추후 협의 필요함.

3. 코딩보완 : 최대한 중복부분 통합/ 디자인보완